근막(연부조직)기법 근에너지기법 도수저항기법 역스트레인기법 자세이완촉진
관절인대스트레인기법 관절가동/추력기법 두개천골기법 간스테드테크닉 카이로프래틱

III. 도수저항기법 Manual Resistance technique
 

I. 역사( History )

그 뿌리는 물리치료사들의 고유 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즉, PN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와 정골의학( Osteopathy )의 Muscle energy technique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기법들은 환자의 근육을 수축하려는 노력, 등척성 혹은 등장성 수축에 대해 도수 저항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저항이 있는 상태에서의 근 수축 후에 긴장이 심한 근육에 신장(stretch )을 가해 준다. - 도수 저항 기법( MRT )은 주로 과다한 긴장이 있는 근육( overactive muscle )이나 단축( shortened )이 온 근육과 주위의 근막을 신장하는데 사용한다.

여러 가지 다른 기법들이 임상에서의 목적에 따라 개발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임상에서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 도수 저항 기법은 두 개의 생리학적 현상( Physiological phenomenon )을 이용한다.

  1. 수축 후 억제 ( Post-contraction Inhibition )
  2. 상호 억제 ( Reciprocal Inhibition )

도수 저항 기법( MRT )은 또한 억제되거나( inhibited ) 약한 근육을 촉진시키거나 훈련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수 저항 기법은 기계로 대체할 수 없는 정확한 환자 자세 잡기나 저항 그리고 움직임의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이 기법은 또한 고유 수용성 감각을 자극해서 능동 저항 시에 억제된 근육들을 촉진시킬 수 있다.

  1. 1950년에 신경학적 손상을 입은 약한 근육들에 PNF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 보고가 Kabat에 의해 있은 후에 근 경직( Spasticity )에도 PNF가 효과가 있다는 발표가 1954년에 있은 후로 여러 가지 다양한 PNF 기법들( 즉, Hold-relax, Contract-relax 등 )이 개발되었다.
  2. 정골 요법( osteopathy )에서는 MEP( Muscle energy procedure )를 관절을 가동시키는 데 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단축이 온 근육이나 결합 조직을 신장시키고 약한 근육들을 강화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3. 유럽의 도수치료사들인 Lewit과 Gaymans는 이 기법을 이용해서 관절 가동( joint mobilization )을 하는데 있어 호흡과 눈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이 기법의 생리적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을 성공하였다.
  4. 나중에 Lewit은 PNF의 Hold-relax와 유사하게 근육의 이완에 중점을 둔 후 등척성 이완 기법( Post-isometric relaxation )이란 용어를 만들어 냈다.
  5. 또 다른 유럽인인 Vladmir Janda는 Hold-relax 보다 상당히 큰 힘을 이용해서 단축이 온 근육과 결합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만성적으로 단축이 온 근육에 사용하는 기법으로 Post-facilitation Stretch라고 명명되었다. 환자는 관절 가동 범위의 중간 범위( mid-range)에서 긴장이 온 근육의 최대한 수축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완기에 들어갈 때에 치료사는 신장을 시켜서 느슨함( Slack )을 제거한다.
  6. Evjenth와 Hamberg는 근육 신장( stretch ) 기법에 있어 가장 정통성을 인정받고 있는데, 이들은 각 관절과 근육들의 정확한 환자 자세와 치료사의 자세를 보여주었다.

II. 적응증 ( Indications )

  1. 압통점과 근육 이완( muscle relaxation including trigger points )
  2. 근육과 근막의 신장( muscle or fascial stretch )
  3. 관절 가동( Joint mobilization )
  4. 관절 견인( Joint traction )
  5. 근육 촉진( Muscle facilitation )

III. 기법상의 특징 (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technique )

  1. 능동적 치료와 수동적 치료의 교량 역할을 한다. 즉, 환자는 능동적으로 움직이지만 치료사에 의해 조절이 된다. 환자의 능동적 참여를 통해 자세 증진의 동기를 부여하며 주요 근육들을 정기적으로 훈련시키는데 이상적이다.
  2. 관절과 근육, 혹은 연부 조직을 manipulation 할 때 Barrier를 만나게 되고 Barrier가 release되는 것을 보게 된다. 약간의 저항이 느껴질 때, 그 관절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쪽으로 교정을 하게 된다. 이와 비슷하게 근육을 이용해서 움직임에 제한이 있거나 근육 혹은 근육 주위의 근막의 끝 느낌( End-feel )의 이상을 치료하는 것이 이 기법들이다.
  3. 세심하고 주의 깊은 촉진( Palpation )이 반드시 요구된다.

IV. 신경 생리학 ( Neurophysiology )

  1. Post-contraction Inhibition : 근육이 수축하고 난 후에 짧은 기간동안 이완기를 갖는 것.
  2. Reciprocal Inhibition : 한 근육이 수축하면 그 길항근은 이완하는 것.

V. 근육의 기능적 과긴장 형태( The Types of Functional Hypertonicity of Muscle )

근육의 이완이나 신장을 위해서 도수 저항 기법을 사용하는 데 있어, 진단은 단축된 근육( 정상적 resting length가 감소된 )이나 압통점( trigger point )을 찾아내는 데 기초를 둔다. 근육은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과긴장이 올 수 있다.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기 위해 과긴장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1.  대뇌의 변연계 기능 이상 ( Limbic system dysfunction )
    (1) 심리적 스트레스에 의한다.
    (2) 견관절과 목 부위, 허리, 그리고 골반저( pelvic floor ) 근육들에서 근 긴장도가 증가되는 특징을 갖는다.
    (3) 두통, 요통, 월경 곤란, dyspareunia 그리고 빈뇨 등의 특징을 갖는다.
    (4) 손상 측 근육에서 압통점이 나타날 것이며 손상 측과 정상 부위가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특징을 갖는다.
    (5) 이 근육들에서 압통점들( trigger points )이 나타날 수 있다.
    (6) 명상, 심리 상담 등의 이완시키는 전략을 사용한다.
  2. Interneuron dysfunction
    (1) 개재 뉴런 ( Interneuron )은 반사궁( reflex arc )의 가장 섬세한 부분이다.
    (2) 이는 척추나 말초 관절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비정상적 구심성 정보( Afferent information )가 보내져서 지장을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관련 분절의 근육에 과긴장 ( hypertonicity )이 올 수 있다.
    (3) 이러한 근육들은 압통점( Trigger points )들을 유발하기가 쉬어지며, 그 길항근들( antagonists )이 상호억제( reciprocal inhibited ) 되어 저긴장( hypotonic ) 상태로 된다.
    (4) 이러한 불균형으로 인해 잘못된 움직임 양상( Faulty movement patterns )을 가지게 되는데,
    (5) 왜냐하면 중추신경계(CNS)가 과긴장이 온 근육을 더 많이 발동하게 하고, 저긴장이 온 근육을 덜 발동시키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6) 이러한 기능 이상이 있는 상태에서 움직임이 실시된다면,잘못된 양상이 더욱 강화된다.
    (7) 도수 저항 기법, 혹은 도수 교정 등의 치료를 한다.
  3. 근막 압통점( Myofascial Trigger Points )
    (1) 근 섬유들의 섬유속( Fascicle )의 단축이 온 것이 유지되어 그 결과 근육 내에서 국소적인 충혈이 오는 부위이다.
    (2) 압통점( Trigger points )은 일반적인 통증 유발 인자이며, 이것이 기능을 변화시키는 질환이 아니라 기능 이상의 결과 발생하는 것이다.
    (3) Travell과 Simons는 압통점( trigger point )을 아주 자극이 민감한 부위로 대개 골격근이나 근육의 근막에 위치한 단단한 띠( Taut band )로 누르면 아프다.
    (4) 그리고 누를 때 특정한 형태의 전이통( referred pain )을 일으키고, 압통과 자율신경계 현상( autonomic phenomena ) 등을 일으킨다라고 정의하였다.
    (5) 치료는 도수 저항 기법, 허혈성 압박( Ischemic compression ), 신장과 스프레이 기법

4. 반사적 강직( Reflex spasm )

  1. 이러한 근육의 강직은 통증에 대한 반응으로 인한다.
  2. 대개 보호반사 기전( Splinting mechanism )으로 인한다. 예를 들면 요통으로 인한 Antalgia나 충수염으로 인한 복부의 강직 등이다.
  3. 이러한 통증의 원인이 해결되더라도 근육의 과긴장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반드시 치료되어야 한다.
  4. 반사적 강직은 압통점( Trigger point )을 유발하거나, 잘못된 움직임의 양상을 생성시킬 수 있다.
  5. 원인을 치료한다. 그러나 원인이 해결된 이후에도 과긴장이 온 근육을 치료할 필요가 있다.

5. 과다 사용으로 인한 근육의 긴장( Overuse Muscle Tightness )

  1. 이것은 근육 병리적, 신경 병리적인 상태로 근육이 지나치게 발동하여 단축이 온 경우로 자세적 기능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한다.
  2. 긴장이 온 근육의 길항근( antagonist )은 자동적으로 억제가 되어서 자연스럽게 근육의 활동에 있어 불균형을 유발한다.
  3. 이러한 활동의 불균형이 있으면 잘못된 움직임 양상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는 긴장이 온 근육이 중추신경계에 의해 쉽게 발동되고 특정한 양상의 움직임을 지배하려는 경향( dominate the movement pattern )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억제된 근육( Inhibited muscle )은 특정 움직임에서 제외되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 매번 이러한 특정 움직임이 실행될 때마다 이러한 과-, 저 활동(hyper- and hypoactivity ) 이 강화( reinforced )된다. 이것이 각 관절에서 압력의 분포에 변화를 주어 관절 기능 이상( joint dysfunction )의 원인이 된다.
  4. PFS, Perpendicular Muscle Folding 등의 치료가 좋다.

 

VI. MRT 치료 원칙

  1. 환자 자세( Patient positioning )
  2. 근육 감기( Winding-up the muscle )
  3. 저항 접근( Engaging the Barrier )
  4. 등척성 수축( Isometric contraction )의 사용
  5. 호흡과 시각 일치( Respiratory and Visual synkinesis )
  6. 이완을 느끼는 것( Feeling the Release )

 

Post-isometric Relaxation

이 기법은 Karel Lewit에 의해 가르쳐졌으며 PNF 학파의 Hold-relax의 변종이다.

이 기법은 주로 개재 뉴런 기능 이상( Interneuron dysfunction )으로 인한 압통점( trigger point )이나 과긴장( Hypertonicity )을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근육의 등척성 수축 후에 이완이 되는 것을 이용하며, 호흡과 병행하여 촉진과 억제를 시킬 수 있다. 경추와 체간( trunk )쪽 근육에서는 눈의 움직임( eye movement )도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근육의 느슨함( slack )을 제거한다. - 근육의 긴장이나 신장 반사를 유발하지 않는 최대한의 길이로 근육을 움직이는 것이다. 환자는 완전히 이완이 되어야한다. 그리고 환자는 천천히 숨을 들이쉬면서 최소한의 등척성 수축을 한다. 수축기는 4에서 10초이며, 이는 치료해야 하는 근육에 따라 다르다. 환자는 수축을 멈추게 하고, 숨을 내쉬면서, 근육의 힘을 뺀다. 치료사가 이완이나 근육이 “ 풀리는 것 “을 느낄 때에만, 부드럽게 근육이 늘어나게 인도해준다. 이러한 과정을 3-5회 반복한다. 만약에 이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등척성 수축기간을 15에서 20초까지 연장할 수 있다. PIR 기법을 마치고 나서 길항근( antagonist )의 저항성 등척성 수축을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이는 천천히 저항을 주었다 뺐다 하면서 5에서 8초간 시행한다.

 

Post-facilitation Stretch ( PFS ) 

이 기법은 Vladmir Janda에 의해 알려졌다 

이 기법은 특별히 근육의 긴장이 있을 때 사용한다. 압통점( trigger point )이 있을 때나 개재 뉴런 기능 이상( Interneuron dysfunction )혹은 변연계 기능 이상(Limbic system dysfunction )으로 인한 과긴장( hypertonicity )이 있을 때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 기법은 최대한 혹은 최대치에 가까운 등척성 수축 후에 완전한 이완을 필요로 하며 이 때 빠른 신장을 가한다. 이 기법은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치료사와 환자의 자세는 PIR과 같을 때가 많다. 최대한의 수축을 통해 가능한 많은 양의 운동 단위들을 발동시켜서 이완기에 운동 단위들의 억제를 최대한 생성시키려는 것이다. 근육을 기능적 범위의 중간 범위 정도에서 자세를 잡는다( 즉, 느슨함을 제거한다거나 장벽barrier를 접근하는 등의 행위가 필요 없다 ).

환자는 10초 동안 근육을 최대한 수축하게 한 후, 완전히 이완했을 때 빠르게 신장시킨다. 신장을 한 자세는 또한 10초 정도 유지한 다음, 다시 중립 위치로 와서 20초 정도 쉬어준다. 그 다음 이 과정을 2회 정도 반복한다. 이 치료는 약간의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치료 후에 근육에 힘이 약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으나, 이것은 곧 좋아진다.

 

Contract-Relax Antagonist Contract technique. ( CRAC )

  1. 고유 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에서 나온 Contract-Relax Antagonist Contract technique

Eccentric MEP 

  1. 이 기법은 Osteopathic muscle energy technique에서 나온 것이다.
  2. 이 기법은 Eccentric Muscle Energy Procedure 라는 것이다.
  3. 적응증은 근육이 아주 경직되었거나 혹은 근막( Myofascial elements )의 요소 중 하나인 결합 조직( connective tissue )에 변화가 있을 때 사용된다.
  4. 다시 한 번 슬괵근( Hamstring )을 이용해서 이 기법을 적용하는 것을 보자.
    (1) 다리를 곧게 편 다음 무릎을 구부리지 말고 다리를 곧게 편다.
    (2) 치료사의 저항에 대해 부드럽게 밀어준다.
    (3) 환자는 계속 아래로 내리는 힘을 유지하는 동안 치료사가 반대로 들어 올린다.
    (4) 이 때 환자는 슬괵근이 신장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5. 환자가 아래로 밀어 내릴 때는 슬괵근이 Concentric contraction을 하는 것이며 이때 치료사는 저항을 주어서 등척성 수축( Isometric contraction )을 유발하는 것이다. 그 다음 환자가 부드럽게 힘을 준 상태에서 치료사가 다리를 들어올려서 Eccentric contraction이 되면서 근육 주위의 근막을 신장시켜 주는 것이다.

 

MRTs의 안전 법칙 ( Safety Rules with MRTs )

  1. 가장 크고, 안정되고, 가장 통증이 심하지 않은 관절을 신장하라.
  2. 그 관절은 반드시 “ loose packed "되어 있어야한다.
  3. 그 가능한 Uncoupled movement는 피하라.
  4. ․ 자극이 온 신경은 신장시키지 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