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막(연부조직)기법 근에너지기법 도수저항기법 역스트레인기법 자세이완촉진
관절인대스트레인기법 관절가동/추력기법 두개천골기법 간스테드테크닉 카이로프래틱

VIII. 두개정골요법 Cranial Osteopathy
 

두개부에 대한 개념은 William Garner Sutherland에 의해서 최초로 착상되어 1899년부터 1954년 그가 죽을 때까지 개발되었으며, Sutherland의 가르침은 Andrew Taylor Still이 미국정골요법학교에서 가르쳤던 정골요법 원리가 그대로 연장된 것이다. Sutherland박사의 연구는 분리해체된 두개골을 면밀히 조사한 후에 시작되었으며, 그는 봉합구조에서 움직임을 목적으로 예정된 구조적 설계를 최초로 확인했다.

기나긴 연구를 계속한 후에 그는 움직임이 불수의적 기전에 대한 반응임이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이 기전을 일차호흡기전(primary respiratory mechanism;PRM)이라고 명명했다.
두개정골요법을 습득하려면 이론적인 학습에 더하여 필수적인 것으로 개별적인 지각훈련을 해야 한다.

 

일차호흡기전

일차호흡기전은 두개골과 신체 전역에서 감지할 수 있으며, 그것의 작용은 생존한 인체에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생리학기전의 일부분으로 그것에는 흡기와 호기 단계로 언급되는 두개의 교체기가 있다.
일차호흡기전은 머리로부터 발까지 이동하여 전해지는 파동은 아니다.

 

일차호흡기전으로 함께 기능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현상이 있다.

  1. 뇌척수액(CSF)의 파동과 조수(흐름증감)의 잠재력
  2. 두개내막과 척추내막의 가동성 및 상호긴장막(reciprocal tension membrane)의 기능
  3. 중추신경계의 고유가동성
  4. 두개골의 관절가동성
  5. 장골사이에서 천골의 불수의적 가동성

이러한 다섯 가지 현상은 모두 중추신경계와 그것을 담고 있는 컨테이너사이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생존한 인체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구조-기능 관계를 나타낸다.

 

일차호흡기전의 단계

일차호흡기전의 흡기와 호기 단계는 다섯 가지 현상동안 내내 신체전체에 걸쳐 동시에 감지될 수 있다.
흡기단계동안에 정중선에 있는 골들은 굴곡되고, 양측면에 쌍을 이루고 있는 뼈들은 외회전되며, 기저두개골은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두개골의 횡경은 증가되고 그것과 동시에 전-후경과 수직경은 감소된다.
대후두공은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움직여서 천골기저부를 제2 천골분절에 접지된 경막에 의해 후방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뇌척수액 자체와 그것을 담고 있는 공간모양은 일차호흡기전의 교체기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경막은 매달려 있어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체내지지기관주위를 둘러싸고 모양을 변화시켜서 일차호흡기전동안에 균형과 일정한 긴장이 유지되게 한다. 알차호흡기전동안에 뇌와 척수는 율동적으로 감겼다 풀렸다 하고, 호기단계에서 이러한 동작은 역전된다.

 

일차호흡기전에 대한 학습은 그것의 다섯 가지 현상을 각각 검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1. 뇌척수액의 파동과 조수(흐름증감)의 잠재력
  2. 뇌척수액의 파동은 일차호흡기전의 제1원리로 간주되고 있으며,
  3. CSF안에는 파동운동으로 나타나는 힘 또는 잠재력이 있다.
  4. Sutherland박사는 이 힘을 “생명의 호흡”으로 언급했으며, 
  5. 비록 Sutherland박사는 생명의 호흡과 그것이 야기하는 파동의 기원에 대한 이론을 세우지는 못했지만, 그는 그것을 동맥박동과 호흡에 의해 생성된 작용과 명백하게 구별했다

 

두개내막과 척추내막의 가동성 및 상호긴장막의 기능

상호긴장막(RTM)은 두개내막과 척추내막, 즉 연막, 거미막, 경막의 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그 막의 해부학과 발생에 대한 것을 이해하는 것이 그것들의 기능을 밝히는데 도움이 된다.
두개내막은 신체 다른 부위 전체에 걸쳐 있는 근막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경막 내층은 뇌를 둘러싸고 함께 합쳐져서 두개 층으로 되어 대뇌겸, 소뇌천막, 소뇌겸을 형성한다.

상호긴장막은 구조와 기능의 단일 단위이다.
모든 막(membranes)은 일차호흡기전의 단계동안에 모양을 바꾸어서 긴장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고 균형을 이루게 한다.

 

중추신경계의 고유가동성

일차호흡기전의 단계동안에 뇌와 척수는 율동적으로 확장되고 수축되며, 이러한 모양변화는 일차호흡기전의 단계동안에 막, 골, 뇌척수액의 움직임과 동시에 일어난다.
신경계의 이러한 감김과 풀림은 원시 신경관의 최전방 지점인 원시종판(lamina terminalis)에 위치한 체내지지기관주위에서 일어난다.
신체의 모든 세포는 일차호흡기전의 단계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말초신경계 안에도 유사한 효과가 있는데 왜냐하면, 말초신경과 그것과 관련된 구조가 흡기와 호기 단계에 반응하기 때문이다.

 

두개골의 관절가동성

사체 골표본을 연구하면 해부학자는 골의 형태와 관련된 광범위한 정보를 얻게 되지만, 그러나 그것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는 부정확한 것이 되게 된다,
Gray해부학에 따르면, 보존된 사체의 뼈에서는 잘못된 수치가 산출되게 되는데, 특히 가소성 변형에 관련해서 그러하고, 또한 탄력성, 경도, 그리고 압축성과 신장성에서도 그러하다.
생체 뼈의 약 60%는 수분이며, 그것의 속성은 사체연구에서 믿게 되는 그러한 것과는 성질이 다른 결합조직에 더 가깝다.
봉합에 의해서 허용되는 제한된 가동성으로 인해 뼈의 가소성은 두개골 운동에서 상당히 중요한 근원이 되는데, 두개골의 얇고 평평한 뼈들은 가소성 변형에 아주 적합한 것이다.
두개골의 봉합구조는 인접한 뼈사이에서 다양한 유형의 운동을 혀용한다.
봉합의 속성에 대한 것은 두개골의 다양한 뼈들에 대한 운동특성과 함께 10부 102장에서 더욱 자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장골사이에서 천골의 불수의적 가동성

천골의 운동축은 서로 다른 다양한 기준점 이용을 고려할 수 있다.
그것은 그것의 수의적 자세운동을 고려했는지, 또는 호흡에 반응한 그것의 운동을 고려했는지, 또는 일차호흡기전에 반응한 그것의 불수의적 운동을 고려했는지에 따라 다르게 된다.
천골은 천골강 후방으로 천골 제2분절 관절지주를 통과하는 횡축을 중심으로 앞뒤로 흔들거리는 운동을 하는데, 이 운동과 골반횡격막(pelvic diaphragm)수축과 척추운동에 의해 일어나는 천골의 호흡성 운동은 서로 구별되어야 한다. 천골의 불수의적 운동축은 천골강 전방에서 L자형 천골관절의 장/단팔(long/short arms)접합부에 위치한 S2추체를 통과한다

 

 

방법론

두개정골요법은 양손을 두개골의 정확한 부위에 위치시켜 놓고 시행한다.
기능부전을 진단한 후에 양손으로 두개골을 보다 더 정상적인 운동패턴으로 부드럽게 인도하거나 또는 운동제한을 풀어준다.
두개골 운동과 천골기능의 긴밀성때문에에 천골은 또한 두개부 정골요법에 기꺼이 따르는 기능부전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착수점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두개부 정골요법의 적응증

일차호흡기전은 살아있는 인체 전체에 걸쳐서 감지되므로 다양한 위치배열에서 기능부전과 비정상적이 병리에 도달할 수 있다.
두개부 정골요법을 이용하면 신체의 많은 기관과 계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5 명
  • 오늘 방문자 266 명
  • 어제 방문자 253 명
  • 최대 방문자 2,908 명
  • 전체 방문자 767,914 명
  • 전체 회원수 1,600 명
  • 전체 게시물 663 개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